NF1 유전자에서 새로 발견된 c.6766_6767insAA 돌연변이 1례

NF1 유전자에서 새로 발견된 c.6766_6767insAA 돌연변이 1례

Novel c.6766_6767insAA mutation in NF1 gene

(지상발표):
Release Date :
Eun Hye Yang1, Young Mi Kim1, Kyung Joon Kim2, Seung Heon Cha2 , Min Jung Kwak1
Pusan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Department of Pediatrics,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1
Pusan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Department of Neurosurgery,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2
양은혜1, 김영미1, 김경준2, 차승헌2 , 곽민정1
부산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부산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학교실1
부산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부산대학교병원 신경외과학교실2

Abstract

서론 : 신경섬유종증은 상염색체 우성으로 유전되는 질환으로 인구 3000명 당 1명 꼴로 발생한다. 제1형의 경우 neurofibromin 단백을 생성하는 염색체 17q11.2에 위치하는 NF1 유전자의 변이에 의해 발생하며 뇌, 신장 등의 여러 조직에 발현하여 다양한 증상을 나타낼 뿐 아니라 악성 종양의 위험성도 증가한다. 50% 이상은 산발적 돌연변이에 의해 발생하고 유전형과 표현형 사이의 관계는 명확하지 않으며 동일한 돌연변이를 가진 가족들 사이에서도 표현형은 매우 다양하다. 저자들은 NF1 유전자에서 이전에 보고되지 않은 c.6766_6767insAA 돌연변이에 의한 제1형 신경섬유종증 1례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증례 : 17세 남아가 내원 10일 전부터 갑자기 발생한 두통과 어지러움, 구토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이학적 검사 상 얼굴과 경부, 체간, 사지, 서혜부에 1cm 크기의 커피색 반점과 주근깨 수백 개가 있었고 등, 겨드랑이에 신경섬유종 관찰되었다. 안과 검사 상 Lisch nodule, 시신경교종 및 양안 우측반맹 확인되었다. 환아 부가 학동기에 제1형 신경섬유종증 진단 받았고, 수년 전에 골반 내 종괴를 수술적으로 제거하였다. 이후 악성말초신경초종 진단되어 항암치료 중이다. 환아는 뇌 자기공명영상에서 좌측 두정엽-후두엽에 직경 6cm의 낭종성 종괴가 확인되어 수술적으로 제거하였고, 조직검사 상 다형성교모세포종 진단되었다. NF1 유전자 돌연변이 검사에서 이전에 보고된 바 없는 c.6766_6767insAA (p. Ser2256Lysfs*4) 이형접합 돌연변이가 확인되었다. 환아는 뇌종양 수술 후 1달 째부터 temodal을 이용한 항암 화학요법과 방사선치료를 시작하였으며 뇌압상승으로 인한 두통 호소하여 뇌실복강단락술 시행하고 외래에서 경과관찰 중이다. 결론 : 저자들은 NF1 유전자에서 이전에 보고되지 않은 c.6766_6767insAA 돌연변이에 의한 제 1형 신경섬유종증 1례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Keywords: 제1형 신경섬유종증, c.6766_6767insAA 돌연변이,